전체 글129 세차운동의 개요, 역사적 기록, 물리학 세차운동(precession motion)의 개요정의세차(precession)란 회전 운동하는 물체의 회전축이 도는 운동을 일컫는다. 회전하는 팽이의 회전축이 연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면, 팽이의 무게에 의하여 돌림힘(torque, 토크)이 작용한다. 이 때에 팽이의 회전축은 연직 방향에 대하여 돌게 되는데 이 운동을 세차라고 부른다(그림 1). 또한 팽이는 연직 방향으로 고개를 끄덕이듯이 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동을 장동(nutation)이라고 말한다. 소개 1. 세차운동의 어원과 원인'precession'이라는 영어는 미리 또는 앞서서라는 의미의 접두어 pre와 진행의 의미를 갖는 cession이 결합한 말로 라틴말 'praecedere'에서 유래한다. 태양이 항성을 기준으로 한 바퀴 돌기.. 2024. 8. 19. 색지수와 색초과 색지수(color index)의 도입과 확장 그리고 온도와의 관계색지수는 서로 다른 두 파장에서 측정한 등급의 차이이며, 파장에 따른 별 에너지 분포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색지수는 별의 온도를 나타내는 인자이다. 색지수의 도입지난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은 눈이라는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별의 밝기를 측정하였다. 이 등급을 안시등급(visual magnitude - mv">mvmv) 또는 겉보기등급(apparent magnitude)이라 한다. 1850년대에 처음으로 별의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이후 사진을 써서 별의 밝기를 측정하게 되었다. 사진의 농도로 측정한 별의 밝기를 사진등급(photographic magnitude - mpg">mpgmpg)이라 한다. 사람의 눈은 녹색에 해당하는 약 5500Å.. 2024. 8. 16. 천체의 색온도, 표면온도, 색지수의 측정 천체의 색온도(Color temperature)와 천체의 색개요색온도는 천체의 색과 동일한 색을 갖는 흑체의 온도로 정의된 천체의 표면온도이다. 천체의 색은 인접한 두 파장 간의 겉보기등급의 차이인 색지수로서 표현한다. 이에 따라 별과 같은 천체는 색으로 온도를 추정할 수 있지만 천체의 실제 색이 우리 눈으로 보는 색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또한 성간물질이나 지구대기에 의한 소광효과로 천체의 색이 실제 색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색온도의 결정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천체의 색 별이나 행성과 같은 천체의 복사에너지 스펙트럼은 넓은 파장영역에 걸쳐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연속스펙트럼의 형태를 갖는다(그림). 한편 인간의 눈은 서로 다른 파장에서의 밝기 차이를 색(color)으로.. 2024. 8. 14. 분광기의 원리 구조 및 종류 분광기(spectrograph)의 개요와 원리개요분광기는 전자기파를 파장에 따라 분산시켜 카메라를 사용하여 분산된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프리즘이나 회절격자와 같은 분산장치를 이용하여 빛을 분산시키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기록한다. 천체의 빛을 모으는 망원경의 말단 부분에 분광기를 연결하여 별이나 은하, 분자운 등이 방출하는 전자기파의 스펙트럼을 얻는다. 분광의 원리분광의 원리는 분산으로 파장이 다른 전자기파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빛을 분산시키는 주요 방법에는 프리즘이나 회절격자를 이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프리즘과 굴절빛을 분산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프리즘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림). 빛이 프리즘으로 들어오면, 진공을 이동할 때와는 다르게 속력이 줄고, 굴절된다. 이런.. 2024. 8. 2. 이전 1 2 3 4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