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9 달의 위상, 위상과 조차, 지구반사광 때에 따라 달리 보이는 달의 위상(Phase of the Moon)달의 위상은 때에 따라 달라져 보이는 달의 모습이다(그림 참조).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하므로 태양빛을 받은 반구(hemisphere)는 밝고 나머지 반대 반구는 어두운데,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므로 지구에서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태양빛을 받아 밝게 보이는 달의 면이 다른 모양으로 보인다. 이것이 시간에 따라 달의 위상이 변하는 이유이다.북반구에서 관측할 때와 남반구에서 관측할 때, 위상이 변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즉, 북반구에서 관측하면 달이 오른쪽부터 밝아져 보름달이 되지만, 남반구에서는 달이 왼쪽부터 밝아진다.달의 위상이 변하는 주기는 삭망월(synodic month)로 알려져 있다. 삭망월은 .. 2024. 7. 26. 남중과 남중 고도 그리고 태양의 남중고도 남중(Upper culmination/Meridian transit) 개요남중은 지평선 위로 떠 오른 천체가 위 자오선을 통과하는 순간이며 고도가 최대가 되는 순간이다. 자오선은 천구의 북극(celestial north pole))과 천정(zenith), 천구의남극(celestial south pole), 천저(nadir)를 통과하는 대원인데 천구의 북극과 천정, 천구의 남극을 잇는 자오선을 위 자오선이라고 부르고, 천구의 북극과 천저, 천구의 남극을 잇는 자오선을 아래 자오선이라고 부른다. 천체는 일주운동(diurnal motion)하기 때문에 하루 동안 '위 자오선'과 '아래 자오선'을 한번씩 통과한다(그림참조).천체가 위 자오선을 통과하는 순간을 남중 혹은 '위자오선통과'(upper culminat.. 2024. 7. 26. 균시차와 그레고리역 균시차(Equation of time)의 개요와 진태양시/시태양시와 평균 태양시 개요균시차(equation of time)는 태양시(true solar time 혹은 apparent solar time)와평균태양시(mean solar time)의 차이이다(그림 1 참조). 이런 차이가 생기는 것은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고 지구 공전궤도가 타원이어서, 천구에 투영된 태양의 일주운동(diurnal motion) 속도가 일정하기 않기 때문이다. 균시차는 아날렘마(analemma)의 수평성분에 해당한다. 아날렘마는 같은 시각에 같은 장소에서 1년동안 태양의 위치를 천구에 나타내면 8자 모양으로 궤적이 그려지는 현상이다. 진태양시(True solar time)혹은 시태양시(Apparent solar time).. 2024. 7. 25. 구면천문학의 개요, 구면삼각법, 좌표계와 시간, 응용 구면천문학(Spherical astronomy)의 개요구면천문학은 천구상에서 좌표를 사용하여 천체의 위치 및 각거리의 변화 등을 기술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로서, 천문학 중에서 가장 오래된 분야이다. 현재는 인공위성이나 우주탐사선의 위치 추적 등과 관련된 분야로 확장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천체의 거리는 매우 멀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측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천문학에서는 천체의 위치를 천구상에서의 두 개의 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구면천문학은 위치천문학(positional astronomy)이라고도 한다. 천체는 그를 바라보는 관측자의 시선이 천구와 만나는 지점에 한 점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천체들의 시간적 공간적 위치와 그들의 상호 관계는 천구면 위에 단순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2024. 7. 25. 이전 1 2 3 4 5 6 ··· 33 다음